보안 인사이트

美 1조4천억원 ‘오펜시브 사이버 작전 예산’과 민간 파장

美 1조4천억원 ‘오펜시브 사이버 작전 예산’과 민간 파장

김인순

2025. 7. 29.

트럼프 2기 정부의 사이버보안 전략 공식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앞으로 4년간 오펜시브 사이버 작전(offensive cyber operations)에 무려 10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조 4천억 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내용은 트럼프 정부의 핵심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ne Big Beautiful Bill)’ 안에 담겨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취임 초부터 공격적인 사이버 전략에 집중해왔다. 이것은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과 사이버 경쟁 심화와 관계있다. 

미국은 중국을 가장 큰 지정학적 라이벌로 보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정보전과 기술전쟁을 벌인다. 러시아와 이란,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 강화로 이들에 대한 대응도 한 축이다. 

트럼프 정부는 이런 경쟁 속에서 ‘미국도 방어만 하지 않고 공격 할 수 있다”는 의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이번 예산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법안에는 구체적으로 공격 작전이 어떤 것인지, 어떤 도구나 기술인지는 명시하지 않았다. 이 예산은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Indo-Pacific Command), 즉 중국과 가까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활동하는 미군 부대의 사이버 능력을 강화하는 데 쓰일 전망이다. 

오펜시브 사이버 작전 강화

“우리는 단순히 ‘공격을 위한 공격’을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우리가 외국의 공격을 당했다면,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전통적인 군사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국가안보회의(NSC) 사이버 수석국장 알렉세이 불라젤(Alexei Bulazel)이 지난 5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RSA컨퍼런스에서 한 말이다. 

2기 트럼프 정부가 들어설 때부터 오펜시브 사이버 전략 기조는 감지됐다. 

미국이 더 이상 당하기만 해선 안 된다는 분위기가 강했다.  공격적으로 나서서 상대에게 비용과 대가를 치르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특히 중국의 해킹 캠페인이 있다. 

중국은 ‘솔트타이푼’ 작전 등을 수행해 다수의 미국 통신사를 해킹했다. 이를 통해 미국의 핵심 인프라를 언제든 공격할 수 있는 ‘전초기지’를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거 미국 행정부들이 적국을 상대로 디지털 공격 수단을 사용하는 데에 주저했는데,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도구들을 제도화하고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꾼 것으로 분석된다. 

오펜시브 사이버 작전이라고 하면 막연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 가지 구체적인 활동을 포함한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간의 사이버 전쟁을 상징하는 이미지

제로데이(Zero-day) 취약점, 스파이웨어(Spyware) 배포, 공격 인프라 구축, 정보 수집 및 ‘넷플로(NetFlow)’ 구매 등이다. 단순히 해킹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버 공격을 준비하고 지원하는 전반적인 활동에 예산이 쓰인다.

  • 제로데이 취약점
    아직 아무에게도 알려지지 않은 소프트웨어의 숨은 결함을 이용해 시스템에 몰래 침투하는 기술.

  • 스파이웨어(Spyware) 배포
    다른 사람의 기기에 몰래 설치해서 이메일, 문서, 통화 기록 등 민감한 정보를 빼내는 프로그램.

  • 공격 인프라 구축:
    공격용 서버나 시스템을 비밀리에 만들고 운영하는 것, 즉 사이버 공격을 하기 위한 ‘작전 기지’ 마련

  • 정보 수집 및 ‘넷플로(NetFlow)’ 구매
    인터넷 트래픽 정보를 모으거나, 심지어 이를 시장에서 사들이는 것도 포함. 넷플로란 사용자의 인터넷 활동 데이터를 요약한 것

미국의 오펜시브 사이버 전략은 단순히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을 넘어, 러시아·이란·북한 등 4개국에도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책이다. 

방어의 최전선은 민간

미국 정부가 공격형 사이버 작전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은 분명 국가 안보 차원에서 전략적인 판단일 수 있다. 미국의 오펜시브 전략은 다른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사이버 공간의 긴장을 높인다. 

하지만 여파는 민간 기업의 리스크로 돌아온다. 실제 많은 정부 지원 해커들이 민간 기업을 해킹하고 있으며, 전략적으로 민간 인프라를 노리는 경우도 많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처럼 보안 인프라가 약한 조직은 국가 간 사이버전의 ‘비의도적 피해자’가 될 수 있다. 공격 역량은 정부가 갖지만, 방어의 최전선은 여전히 민간 기업이기 때문이다. 

민간 기업은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차단하는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보안(Offensive-minded Security)’을 세워야 한다. 

사이버 전쟁은 이제 군대만의 일이 아니다.  공격은 정부가 하지만, 피해는 민간이 입는다. 민간도 공격자의 시선에 기반한 방어 전략이 절실하다.

김인순

김인순

가천대 스타트업 컬리지 겸임교수
가천대 스타트업 컬리지 겸임교수

전자신문 ICT융합부 데스크 출신으로 20년간 사이버 보안 취재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전자신문 ICT융합부 데스크 출신으로 20년간 사이버 보안 취재 및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침해사고 발생 전,
지금 대비하세요

빈틈없는 보안 설계의 시작, NO.1 화이트 해커의 노하우로부터

침해사고 발생 전,
지금 대비하세요

빈틈없는 보안 설계의 시작, NO.1 화이트 해커의 노하우로부터

공격자 관점의 깊이가 다른 보안을 제시합니다.

Contact

biz@enki.co.kr

02-402-1337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테라타워 B동 1214~1217호)

ENKI WhiteHat Co., Ltd.

Copyright © 2025. All rights reserved.

공격자 관점의 깊이가 다른 보안을 제시합니다.

Contact

biz@enki.co.kr

02-402-1337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테라타워 B동 1214~1217호)

ENKI WhiteHat Co., Ltd.

Copyright © 2025. All rights reserved.

공격자 관점의 깊이가 다른 보안을 제시합니다.

Contact

biz@enki.co.kr

02-402-1337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테라타워 B동 1214~1217호)

ENKI WhiteHat Co., Ltd.

Copyright © 2025. All rights reserved.